[경제읽기] 전국 미분양 주택 7만 5천 호…정부 "개입할 수준 아냐"<br /><br /><br />지난달 전국 미분양 주택이 7만 5천 가구를 넘어서며 10여 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위험선으로 봤던 '6만 2천 채'를 넘긴 데다 미분양 문제가 심각해질 경우 건설업계의 줄도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지만 정부는 아직 개입할 수준이 아니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지난달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한 달 만에 10%가량 늘어나 7만 5천 가구를 넘어서며 10년 2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. 특히 미분양 물량은 지방과 외곽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는데 현황 짚어주신다면요?<br /><br /> 전국에 미분양 주택이 크게, 그리고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원인도 궁금합니다. 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이자 부담, 혹은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집값 영향 때문일까요?<br /><br /> 미분양 물량이 정부가 위험선으로 봤던 '6만 2천 채'를 넘어선 데가 건설업계의 대책 요구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정부는 아직 개입할 수준은 아니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데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오늘부터 무순위 청약의 무주택·거주지 요건이 폐지됩니다. 집이 여러 채 있거나, 해당 지역에 거주하지 않아도 무순위 청약이 가능하게 된 거죠?<br /><br /> 당장 다음 달 무순위 청약을 시작하는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을 비롯해 일부 단지가 규제 완화 혜택을 받을 전망인데 시장 여파는 어떨까요? 수도권에 무순위 청약 수요가 몰려 지방의 미분양 시장이 더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원·달러환율이 고공행진하면서 달러 강세가 우려되고 있습니다. 오늘 1,310원대로 어제보다 소폭 내려왔지만, 여전히 1,300원을 돌파한 상황인데 강달러 현상이 다시 기지개를 켜는 배경은 무엇인가요? 미국의 긴축이 장기화할 거란 공포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강달러 현상이 장기화될 경우 수입 물가를 끌어올려 다시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고물가와 고환율, 가라앉을 대로 가라앉은 경기 사이에서 정부의 운신 폭도 좁아진 상황인데 경제 불확실성을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#미분양주택 #부동산경기 #건설업계 #무순위청약 #원달러환율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